티스토리 뷰

목차



     

     

    고용노동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인공지능, 클라우드, 빅테이터, 나노 등 4개 신기술분야에 대한 2027년까지 인력수급전망 결과 자료를 발표했습니다.

     

    취업포털 사이트에 따르면 개발자 공급대비 수요(채용)가 가장 부족한 직군은 IT, 개발 분야로 조사되었습니다. 최근 기업들은 고연봉 외 스톡옵션등을 내세워 우수개발자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졌습니다. 결국 IT 개발자들의 몸값이 천정부지 치솟게 되었다.

     

    이번 전망 결과를 보면 인공지능분야는 12,8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특히 연구개발등 고급인력 부족이 우려되고 있다.  클라우드 분야는 18,800명이 부족한데 서비스 확산 및 지속적인 시장성장으로 이분야 또한 인력부족이 심화 될 듯 합니다.  빅테이터분야는 19,600명이 부족할것으로 전망했는데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확산되면서 분야별 전문지식을 동반한 고급 데이터 인력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나노 기술분야는 첨단산업 성장으로 8,400명이 부족할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신기술 분야로 취업하고 싶지만 우리가 이미 알고 있듯이 접근하기 너무나 어려운 분야입니다. 하지만 [내일 배움 카드]를 통해 훈련기관을 통해 훈련수당까지 받아가면서 누구나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전공자뿐만 아니라 문과출신, 비전공자 IT초보자까지 참여해서 기초부터 차근차근 배울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K 디지털 아카데미’를 통해 4차 산업혁명과 함께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신기술 분야에 우리도 충분해 도전해 불 수 있습니다.

     

     

     

     
     

    K - 디지털 아카데미  (HRD-Net 직업훈련포탈)

     

    대한민국 정부가주최하는 디지털 전문가 양성프로그램입니다. 교육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취업연계까지 진행하여 대한민국 IT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코로나 이후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산업 전반에서 실무역량으로 디지털 능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국민드르이 디지털 적응력을 향상 시키기 위한 신기술 부냐 직업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습니다. 한국판 뉴딜정책의 일환으로 추진중인 K Digital Tranining은 혁식적인 기술, 훈련방법을 가진 기업-대학-민간 혁신기관을 통해 인공지능(AI), 빅테이터, 클라우드 등 디지털 신기술 분야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할 ‘미래형 핵심 실무인재 양성’을 목표에 추진 중에 있습니다.

     

    지원대상

    국민내일배움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는 사람으로 직업훈련이 꼭 필요한 사람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내일배움카드’ 제외대상 해당되는지 살펴보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지원내용

    훈련비 전액 지원받으실 수 있으며 성실히 훈련에 참여한 훈련생은 매월 훈련장려금(매월 30만원)을 지원받아가며 교육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단, 훈련장려금 신청은 수강 중인 훈련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훈련기관에 문의하셔야 합니다.

     

    훈련내용

    - 청년들이 선호하는 혁신적인 훈련기관·선도기업·대학 등이 훈련기관으로 참여합니다.

    -  AI, 빅데이터 등 디지털·신기술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기반기술, 그리고 이를 활용한 핀테크, 스마트제조 등의     응용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훈련과정을 제공받으실수 있습니다. 

    - 비전공 청년이라도 디지털·신기술 분야 현장에서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직무역량 제고 가능합니다.

     

    K디지털 트레이닝은 직업능력심사평가원애서 정기적으로 훈련기관을 선정합니다. 매년 취업률과 같은 성과평가 결과등을 통해 심사해서 퇴출당하는 훈련기관도 있고 신기술분야에 인력 수급난이 예상되면 새로운 과정들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IT 기술이 전혀 없는 초보자들도 기초부터 배울수 있어서 관련 분야로 취업을 생각하시면 반드시 참여해 보면 좋은 프로그램이므로 잘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